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릴라의 역사와 특징, 인간과 차이점, 그리고 세계 고릴라의 날

by 둥글둥글 하루 2025. 9. 15.

고릴라 사진

 

 

인간과 가장 유전적으로 가까운 동물인 고릴라에 대해 알아봅시다.

 

1. 고릴라의 역사와 특징

고릴라는 첫 문장에서 말했듯 인간과 가장 유전적으로 가까운 대형 유인원입니다. 약 10 ~15백만 년 전 공통 조상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인류와 고릴라, 침팬지가 공유하는 공통 조상이 존재했습니다. 그 후 고릴라는 약 8~10 백만 년 전, 침팬지와 분리되기 시작했고, 이들의 진화적 과정은 다른 유인원과는 다르게 진행했습니다.

추정하기로 약 1천 만전 전부터 8백만 년 전 사이에 사람과 분기되었으며, 2007년 에티오피아에서 고릴라 화석이 원시적인 형태로 발견됨으로써 침팬지와 사람의 공통조상보다 앞서서 진화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고릴라는 두 가지 종으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바로 서부 고릴라와 동부 고릴라입니다. 이 두 종류의 고릴라는 다시 여러 종으로 세분화되었으며, 각 종은 조금씩 다른 생물학적 특징과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 신장 : 발로 섰을 때의 높이가 2~2.3m 정도 되며, 팔은 짧은 편으로 두 팔을 벌렸을 때의 너비는 대략 3m에 달합니다.
  • 몸무게 : 150kg~290kg 정도 측정됩니다.
  • 얼굴의 생김새 : 피부는 검은 편이며, 코가 납작하고, 콧구멍이 매우 크며, 눈썹뼈가 튀어나와 있어 다소 사나운 느낌을 줍니다.
  • 현존하는 영장류 중 근력이 가장 강한 동물에 속합니다.
  • 특징 중 하나로 엄지손가락이 다른 손가락에 비해 월등히 크고 깁니다.
  • 무리를 지어다니며 생존하고, 양손과 발을 당에 짚고 네발을 이용해 걷기도 하며, 때때로 두발만을 이용하여 직립보행을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최대 16~18m 정도를 직립보행 할 수 있습니다.
  • 온순한 성격으로 사람을 공격하거나 해친 적인 없습니다.
  • 고릴라에게는 인간처럼 각각의 고유 지문이 있습니다.
  • 평균적인 수면시간은 약 11시간 ~17시간입니다. 

 

예로부터 사하라 남부 아프리카엔 고릴라에 대한 많은 전승이 있었습니다. 카메룬에서는 토템으로 연결된 고릴라가 죽으면 이어져있던 사람도 죽는다는 믿음이 있었으며, 임산부가 고릴라를 보면 아이를 출산한다는 등의 이야기가 전해 내려옵니다.

또한 1847년, 라이베리아의 선교사 T.S. Savage(토마스 스토튼 새비지)와 박물학자 J.Wyman(재프리스 와이먼)이 찾아낸 서부고릴라의 뼈를 토대로 고릴라라는 종을 명명했습니다.

그 후, 1861년 프랑스계 미국 탐험가 Paul Belloni Du Chaillu(폴 벨로니 뒤 샤이유)가 서양 최초 아프리카 서쪽을 여행하며 실존하는 고릴라를 보고, 사냥했으며, 견본을 영국으로 가져와 실존하는 동물임을 증명하였습니다.

2. 인간과의 차이점

사람과 유전학적으로 98%가 비슷한 영장류인 고릴라가 사람과 다른 점은 무엇일까요?

사람을 구별하여 인류라고 하는데, 인류는 영장류에 속하며, 영장류에는 유인원류, 원류, 인류로 나뉩니다. 그중 유인원류에 속하는 고릴라와 인류에 속하는 사람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습니다.

  • 사람은 완전한 직립보행을 합니다.
  • 사람에게는 복잡한 고유의 언어가 존재하며, 불과 도구를 사용하는 점은 유인원과 구별됩니다.
  • 고릴라의 의사소통에는 언어가 아닌 울음소리 또는 행동 및 동작을 통해 표현합니다.

 

 

3. 세계 고릴라의 날

 

세계 고릴라의 날은 인간들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서식지 파괴와 밀렵 등으로 멸종 위기에 있는 고릴라들을 위해 보호 및 보전을 명목으로 만들어진 날입니다. 고릴라 연구를 진행한 동물학자 '다이앤 포시'의 고릴라 연구 센터 설립을 기념하며 지정되었습니다.

마운틴고릴라에 대한 분석이 2011년 절망적으로 나왔으며, 이는 멸종위기를 넘어서, DNA보전으로 복제를 논할 정도로 멸종이 확실하다고 발표했습니다.  2020년 6월 미국학술지 와일리온라인라이브러리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 위기, 고릴라의 서식지 파괴손실 및 인구 증가를 결합한 미래에 대한 영향을 모델링해서 산출한 결과, 2050년까지 고릴라의 서식지 90%가 축소될 전망이라고 보고하며, 세계인들의 환경보호를 위한 노력을 촉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