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바다거북이의 종류, 그리고 수명과 멸종위기

by 둥글둥글 하루 2025. 9. 18.

 

 

 

 

바다거북이 사진

 

 

 

푸른 바닷속을 헤엄치며 신비로운 동물로 알려져 있는 바다거북이의 종류와 멸종위기에 대해 알아봅시다.

 

1. 바다거북이의 종류

전 세계적으로 바다거북은 7종이 현재 존재하며, 대표적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초록바다거북(Chelonia mydas)

대한민국뿐 아니라 전 세계 열대.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며, 등껍질 아래 녹색 피부를 가지고 있어 초록바다거북으로 불려지게 되었습니다.

주로 해초를 먹이로 삼고 있습니다. 그러나 나이에 따라 식이가 달라지며, 새끼 때는 육식을 주로 섭취하고, 성장하여 어른이 되면 모든 것을 먹을 수 있습니다. 푸른 바다 거북이는 느리게 성장하는데 그 이유는 영양분 섭취를 적게 하기 때문입니다.

  • 장수거북(Dermochelys coriacea)

흔히 장수거북의 장수란 뜻을 오래산다로 오해하기 쉽지만 원래의 의미는 우두머리 뜻으로 장수를 의미합니다. 장수거북의 껍데기인 등판은 다른 거북이들과 차별화를 가지고 있는데, 단단한 골판들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가죽으로 되어 있습니다. 모든 바다거북 종류 중에서 가장 큰 것이 장수거북입니다. 길이가 보통 1~2미터이고, 몸무게는 250~ 700kg까지 나갑니다. 거북이들 중에 수영속도가 가장 빠르고, 가장 깊이 잠수하는 거북이입니다.

  • 붉은 바다거북(Caretta caretta)

한국어로는 붉은바다거북이라 불리지만 영어로는 로거헤드(loggerhead)로 명명되는데, 그 뜻이 '바보, 멍텅구리'라는 뜻으로 선착장에 배를 묶기 위해 고정하는 '밧줄을 거는 기둥'이란 뜻으로 사용됩니다. 통나무를 의미하는 로그(log)가 큰 것을 의미하는 것처럼 머리가 큰 붉은 바다거북을 가리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주로 플로리다에서 서식하며, 길이가 3.5피트, 무게가 400파운드입니다. 붉은 바다거북은 주로 갑각류인 게, 연체동물, 그리고 해파리를 주식으로 삼습니다. 주로 주간에 활동하며, 쉬거나 바닥에 있을 대는 눈을 뜨고 있거나 반쯤 감고 있기도 합니다.

  • 매부리바다거북(Eretmochelys imbricata)

매부리바다거북은 장수거북에 비하면 크기도 1미터정도에 몸무게가 80kg 정도밖에 나가지 않아 작게 느껴집니다.  매부리바다거북의 등판은 지붕의 기왓장들을 여럿 겹친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게다가 등껍데기의 색은 수온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밖은 황갈색 또는 흑색까지 방사상 무늬가 불규칙적으로 덮여있습니다. 주로 열대해역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습니다.

  • 올리브리들리바다거북(Lepidochelys olivacea)

주로 서태평양과 인도양, 그리고 일본까지 분포하는 올리브 리들리 바다거북은 바다거북 중에서 가장 작은 편에 속합니다. 길이가 평균 60cm~70cm이고 몸무게는 25kg~46kg 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등판의 모양이 하트모양이며, 머리의 폭이 넓고, 위에서 바라보면 주둥이가 삼각형 모양입니다. 올리브 리들리 바다거북은 주로 육식을 섭취하며, 먹을 것이 없을 때 해조류까지 먹기도 합니다. 

  • 켐프리드리바다거북(Lepidochelys kempii)

올리브리들리 바다거북과 함께 가장 작은 종이며, 멸종위기에 처한 종입니다. 리처드 켐프라는 사람이 처음으로 이 거북이의 견본을 하버드대학에 보냈으며, 그 이유로 학명에 '켐프'가 붙게 되었습니다. 주로 대서양에 서식하며, 미국북쪽의 뉴저지 또는 플로리다뿐 아니라 아일랜드의 차가운 바다에도 나타납니다.  길이가 대략 58cm~ 70cm 정도 되며, 무게는 약 34kg~45kg 정도 나갑니다.  10년에서 12년 정도 자라며 성체로 봅니다. 

  • 플랫백바다거북(Lepidochelys olivacea)

플랫백바다거북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와 서부에 걸친 대륙 주변의 열대 연안 바다와 모래에서만 발견됩니다. 그리고 그 발견지에는 파푸아뉴기니도 포함됩니다. 플랫백 바다거북이는 다른 거북이와는 달리 먼 거리를 여행하지 않습니다. 다른 거북이에 비해 등의 아치가 낮기에 이름이 납작등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주 먹이는 동물성 먹이를 섭취하며, 해삼, 해파리, 연체동물 등이며, 아주 가끔 해초도 먹습니다.

 

 

 

2.  수명

바다거북의 평균적이 수명은 50~100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몇 일부 종에서는 150년 이상 살았다는 기록도 있기에 장수를 대표하는 동물로 인식되어 있습니다. 아무래도 이렇게 오랫동안 장수할 수 있는 비결로 바다거북의 느린 신진대사를 말할 수 있습니다. 신진대사가 느려 노화가 아무래도 천천히 진행되기 때문입니다. 유년기가 길며, 번식이 가능한 성체가 되기까지 수년에서 수십 년이 걸리며, 많은 알을 한 번에 낳지만 생존율이 낮은 편에 들어갑니다.

 

3.  멸종위기

현재 바다거북은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서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환경오염, 기후변화, 무분별한 남획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한 상태입니다. 대한민국에서도 일부 해변에 산란 기록이 있으며, 현재 보호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개체수 감소를 막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해양 생태계의 중요한 지표종이며, 장수와 독특한 번식 방식으로 많은 관심을 받는 바다거북이 더 이상 인간으로 인해 피해를 보아서는 안 되기에 전 세계가 노력하여 개체수 증감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