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북극곰의 특징과 털이 하얀이유, 멸종위기 극복 방법

by 둥글둥글 하루 2025. 9. 20.

어린 시절 곰인형을 한번 안고 자는 것이 소원이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때 새 하얀 작은 곰이형을 받고는 얼마나 기뻤는지 모릅니다.

그 인형의 주인공이 북극곰이라는 것은 학교에 들어간 후 알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그 북극곰의 여러 가지 특징과 털이 하얀 이유, 그리고 현재 멸종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북극곰 사진

 

 

 

1. 북극곰의 특징

북극곰은 현재 현존하는 곰 중에서 가장 큰 곰에 속하며, 식육목 포유류 중에서는 4번째로 큰 편에 속합니다. 

수컷과 암컷의 몸 차이는 좀 있는데, 수컷의 몸길이는 대약 2~2.5m 정도 되며, 암컷의 몸길이는 1.8~2m 정도입니다. 이들의 몸무게 역시 상당히 많이 나가는 편입니다. 수컷은 적게는 300kg에서부터 많게는 800kg까지 나가며 1960년 알래스카에서 포회된 수컷 북극곰의 무게는 1톤이 넘었습니다. 암컷은 수컷에 비해 적게 나가며, 대략 150kg~300kg까지 나갑니다. 하지만 갓 태어난 새끼북극곰은 놀랍게도 1kg가 채 안 되는 900g 정도로 인간보다도 훨씬 작습니다.

 

북극곰들은 수영을 매우 잘하는데, 발가락 사이에 물갈퀴가 있어 최대 6km까지 빠르게 물 속에서 수영할 수 있으며, 그 거리도 대단합니다. 평균 한번 물에 들어가면 154km를 헤엄칠 수 있습니다. 잠수도 가능하며, 최대 3분까지 잠수할 수 있습니다.

 

북극곰은 육식성이 강하여 사냥을 통해 먹이를 공급하지만 최근에는 먹을 것을 구할 수 없어 풀을 먹기도 합니다. 주로 바다표범이 숨구멍으로 나왔을 때 덮쳐서 잡아먹었으며, 때로는 1톤이 넘는 바다코끼리도 사냥하기도 합니다. 그 외 물속의 갑각류 또는 물고기를 먹기도 합니다. 

 

사실 북극해 생태계의 최강으로 불리는 북극곰은 천적이 없다고 봐야합니다. 아주 가끔 물속에서 범고래와 맞닥뜨리는 경우 잡아 먹히기도 하지만, 범고래에게도 북극곰은 쉽지 않은 상대라서 자주 먹는 경우는 없습니다.

 

북극곰은 하얗고 귀여운 외모와는 달리 포악한 성격으로 알려져 있으며, 야생에서는 사람을 포함한 다른 동물들에게 공격적입니다.

동물원 같이 제한된 공간이나 환경에서 사ㅇ육되는 경우에 종종 애교 있는 모습이나 장난치는 모습도 볼 수 있지만, 야생에서는 주로 혼자 생활하는 독립성이 강하고, 다른 동물과의 관계도 공격성이 매우 나타납니다.

 

 

 

2. 북극곰의 털이 하얀 이유

 

하얀 설원 위에 멋진 북극곰이 걸어가는 모습은 아주 멋져 보입니다. 그 북극곰의 털은 왜 하얀색일까요?

단순히 예쁘게 보이기 위함은 아닙니다. 진화와 환경 그리고 생존의 비밀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얀 털은 눈밭과 섞여 있을 경우 포식자나 먹잇감을 속일 수 있습니다. 바로 위장하기에 매우 유리하며, 북극곰의 하얀 털 덕분에 사냥감들은 북극곰의 접근을 눈치채기 어렵습니다. 

또한 북극곰의 털은 약 60만년의 시간에 걸쳐 진화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60만 년 전 갈색곰과 갈라져 독립적인 종으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멜라닌' 색소가 줄어들며 현재의 하얀색으로 보이게 된 것입니다.

 

사실 북극곰의 털의 색은 하얀 것이 아니라, 투명하다고 발표되었습니다. 부드럽고 폭신해 보이지만 실제는 매우 빳빳하며, 바늘처럼 뾰족한 수준이며, 털 속의 피부는 검은색입니다. 속은 검은색이고, 겉은 투명한 털이 하얗게 보이는 이유는 빛의 산란 때문입니다. 털의 푹 들어간 내부 표면이 빛을 여러 방향으로 산란시키기에 하얗게 보이는 것입니다. 북극곰의 털은 빨대처럼 속이 비어있는 구조로 털 내부 빈 곳에 온기를 품어 체온을 유지합니다. 이러한 구조는 털이 자외선을 곰의 피부에 전달하기에 효율적이며, 따라서 열 손실도 적은 편입니다. 털이 2중 구조로 되어 있어서 보온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3. 멸종위기 극복방법

 

 

최근 들어 북극곰 살리기 운동이 많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유는 지구 온나화로  빙하가 녹으면서 북극곰의 사냥 공간이 줄어들고, 주 먹잇감이 물범이나 바다표범 등이 물속으로 도망쳐 사냥을 잘 성공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빙하가 녹으면서 묵극곰이 수영 중 올라와 쉬거나 사냥 공간으로 사용하는 면적이 줄어, 실제로 150kg나 수영할 수 있는 북극곰이 쉬지 못해 익사하는 일도 일어났기 때문입니다.

현재는 멸종위기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번식이 어려워 개체수 증가도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또한 무차별적인 밀렵은 북극곰을 멸종시키기에 충분한 역할을 했습니다.

 

전 세계가 북극곰 멸종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환경 보호 운동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정책을 발표하고,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사용하며, 플라스틱 배출을 자제하고 있습니다.

환경단체뿐 만 아니라, 각 나라마다 , 그 안의 구성원들 개개인이 모두 지키는 캠페인 등을 펼치며 독려하고 있습니다.

또한 북극곰 보호를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산해 가며 모니터링을 통해 서식지와 생태계의 작은 변화도 주의 깊게 살펴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