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슴의 특징과 흰 사슴, 그리고 루돌프

by 둥글둥글 하루 2025. 9. 28.

신비로움을 상징하는 동물 중 하나로 사슴이 늘 입에 오르내리는데, 이번에는 멋진 뿔을 가진 사슴의 생태적인 특징들과, 신비로움의 상징인 흰 사슴에 대해서, 그리고 어린 시절부터 늘 불러오던 노래의 주인공 루돌프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뿔이 멋진 사슴 사진

 

 

1.  사슴의 특징

 

사슴의 가장 큰 특징은 계절마다 바뀌는 뿔입니다. 매년 봄이 되면 뿔이 새로 교체되는 사슴은 우제목 사슴과 에 속하는 포유류입니다.

수컷의 큰 뿔, 그리고 갈색 털을 가지고 있는 사슴은 새끼때는 몸에 난 점으로 위장을 하기도 합니다. 새끼 때 난 몸의 점은 다 큰 성체가 되면 점은 사라지고, 자연스러운 갈색 털로 뒤덮이며 사슴의 모습을 합니다. 게다가 매년 봄에 뿔을 교체하며, 3개월 만에 최대 크기로 자랍니다.

몸길이는 약 30cm, 높이는 약 20cm의 소형 사슴부터 몸길이 3.1m, 높이는 2.35m의 대형 사슴까지 다양한 종이 있으며, 달리기 속도가 시속 65km/h~80km/h까지 매우 빠른 속도로 달리는 동물입니다. 사슴의 이빨은 대부분 앞니가 아래에만 있고, 위아래의 어금니는 끝이 날카롭게 갈라져 있어 먹이를 씹기에 아주 좋습니다. 

멋지고 예쁜 외모지만 울음소리는 독특하고 이상하게 소리를 냅니다. 사슴의 사회성은 무리를 지어 다니고, 아침저녁으로 먹이를 찾아 나서며, 낮에는 휴식을 취하기도 합니다. 이런 사슴은 천적이 나타났을 때 엉덩이의 털을 세워 수컷에게 자신들만의 신호로 위험을 알리기도 하고, 번식기에는 수컷들끼리 뿔로 싸움을 벌이는데, 승자 수컷 사슴은 수십 마리의 암컷을 거느리고 다닙니다.

사슴의 번식은 6개월에서 9개월정도의 임신기간을 갖습니다. 한 번에 한두 마리의 새끼를 낳습니다. 그리고, 새끼를 낳은 암컷 사슴은 집단에서 떨어져 숨어서 새끼를 키우고, 1년 정도 어미와 함께 성장한 새끼는 1년이 지난 후 독립합니다.

 

사슴의 천적으로는 호랑이, 표점, 곰, 스라소니, 승냥이, 독수리 등 많은 포식자에게 위협을 받습니다. 대부분의 초식동물처럼 사슴은 평소에는 온순하지만 자극받으면 죽기 살기로 싸우는 경우도 있습니다.

 

 

 

 

2.  흰 사슴 이야기

 

흰 사슴은 아시아와 유럽 모두에서 특별한 상징성을 가지고 있는 존재입니다. 아시아의 나라 중 한국과 일본에서는 희사슴이 신의 사자이자 마을을 지켜주는 수호신으로 여겨지기도 했습니다. 경주의 불국사에는 흰 사슴이 알려준 자리에 절을 지었다는 전설이 전해지며, 일본 나라시에서도 희사슴은 신의 사자라 여기며 지금도 신성한 동물로 대우받고 있습니다.

 

흰 사슴은 일반 사슴과 다르게 털이 흰색으로 변하는 돌연변이(알비노)로 쉽게 볼 수 있지 않습니다. 최근 스웨덴, 노르웨이 등 북유럽 지역에서 발견되어 큰 화제가 되기도 하었으며, 하나산 백록담의 이름도 '흰 사슴이 신령과 함께 놀았던 연못'이라는 뜻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선천적으로 멜라닌 결핍으로 생겨난 것과는 조금 다른 부분이 눈동자가 붉지 않아서 극히 희귀한 동물이며, 10만 마리 중 한 마리 꼴로 태어날 정도입니다. 

 

유럽에서는 흰사슴이 기사도 문학과 성배 탐험에서 중요한 모티브로 등장합니다. 특히 '성배를 찾는 여정'에서 흰 사슴은 신의 은총을 받은 기사만이 볼 수 있는 존재로 묘사되기도 하며, 신비와 순수의 최고치를 상징했습니다. 

결국 아시아의 흰사슴은 마을과 사람을 지켜주는 가까운 신성의 상징이었다면, 유럽에서의 흰 사슴은 인간이 도달하기 어려운 신비로운 초월의 상징이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3. 루돌프 

 

루돌프가 최초 등장한 시기는 1939년 미국에서였습니다. 시카고의 몽고메리 워드 백화점에서 아이들을 위한 크리스마스 이야기 책자를 제작하면서 빨간 코를 가진 작은 사슴 캐릭터를 만들었습니다. 당시 저자인 로버트 L. 메이는 루돌프를 '다른 사슴과는 다른 외모 때문에 놀림을 받는 사슴이지만 결국 산타를 도와 세상을 밝히는 존재'로 그려내어 큰 화제가 되었습니다. 거기에 루돌프를 주제로 한 노래가 발표되었고, 그 이후 루돌프는 크리스마스 문화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루돌프의 가장 큰 특징은 빨간 코입니다. 이는 단순한 외형적 특징이 아니라 '빛과 희망'을 의미합니다. 루돌프 코는 어두운 겨울밤에 길을 밝히며 산타가 아이들에게 선물을 무사히 전달할 수 있도록 돕는 존재가 되었습니다.